여러이야기

화이자, 모더나,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 차이와 부작용

하얀오리 2021. 8. 12. 08:23
반응형

안녕하세요

오늘은 화이자, 모더나, 그리고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 19 백신의 차이와 부작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
화이자 (Pfizer)

화이자백신


백신명: BNT162b2


• 종류: mRNA (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투여하는 방식)


개발: 화이자 제약 (미국), 바이오엔테크 (독일)


• 접종 횟수: 2회 (3주 간격)


• 예방 효과: 95%


보관: -80°C에서 -60°C


• 임상참여자: 약 4만명


• 이상반응, 부작용:

 

접종부위 통증 (92%)

피로감 (70%)

두통 (64.7%)

근육통 (61.5%)

관절통 (46.4%)

오한 (45.4%)

구토 (23%)

겨드랑이 부기, 압통 (19.8%)

발열 (15.5%)

접종부위 부종 (14.7%)

접종부위 홍반 (10%)

 


모더나 (Moderna)

모더나백신


백신명: mRNA-1273


• 종류: mRNA (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투여하는 방식)


개발: 모더나 제약 (미국), NIAID 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


• 접종 횟수: 2회 (4주 간격)


• 예방 효과: 94.1%


• 보관: -25°C에서 -15°C 사이


• 임상참여자: 약 3만명


• 이상반응, 부작용:

 

접종부위 통증 (92%)

피로감 (70%)

두통 (64.7%)

근육통 (61.5)

관절통 (46.4%)

오한 (45.4%)

오심, 구토 (23%)

겨드랑이 붓기, 압통 (19.8%)

발열 (15.5%)

접종부위 부종 (14.7%)

접종부위 홍반 (10%)

 


아스트라제네카 (AstraZeneca)

아스트라제네카백신


백신명: AZD1222 (ChAdOx1 nCoV-10)


• 종류: 바이러스 벡터 기반 (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는 방식)


• 개발: 아스트라제네카 제약 (영국), 옥스퍼드대 (영국)


• 접종 횟수: 2회 (1달 간격)


• 예방 효과: 70.4% (1,2회 전량투여 시 62.1% / 1회 절반+2회전량 투여시 90%)


• 보관: 2°C에서 8°C 사이


• 임상참여자: 약 2만명


• 이상반응, 부작용

 

접종부위 압통 (60% 이하)

접종부위 통증 (50% 이하)

두통, 피로감 (50% 이하)

근육통 (40% 이하)

권태감 (40% 이하)

발열, 오한 (30% 이하)

관절통 (20% 이하)

오심 (20% 이하)

 


그 외 이야기

 

• 백신 접종후에는 지침에 따라 병원에서 대기해주시고 가능하다면 지인분과 함께 동행하시길 바랍니다.

 

• 현재 한국의 백신접종 현황은 1차 접종 21,635,106명이며 2차 접종은 8,062,980명입니다.

 

• 한국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이상 반응 사례는 약 12만 7014건 그리고 사망사례는 약 450건 정도지만 90% 이상이 정부로부터 백신 부작용 인과성 인정을 받지 못한 사례임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.

 

• 1,2차 접종자 포함 약 29,698,086명 중 450명의 사망사례는 약 0.0015% 수준으로 큰 걱정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.

 

• 사망자 중 약 95%는 기저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, 기저질환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• 알려진 사망자의 기저질환:

고혈압성 질환 (60.8%)

당뇨병 (38.1%)

증상성과 기질성 정신장애 (20.9%)

뇌혈관 질환 (16.8%)

심장병 (12.8%)

 

• 접종 후 사망까지의 시간:

4시간 이상 (55.8%)

24-72시간 미만 (18%)

72-144시간 미만 (18.2%)

접종후 6일 이내 (44.2%)

 


이렇게 화이자, 모더나,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 백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모두 건강하게 백신 접종 받으시고 코로나19의 종식을 기원합니다.

 

부디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

오늘도 방문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.

좋은 하루 보내세요.

반응형